본문 바로가기

51. 준동사 To부정사 부정/문법연습문제 1~30

ari-song 2025. 2. 5.

"To부정사"란 무엇일까요? (오늘도 반복합니다. 뜻부터 알자!!)

To부정사란 "to + 동사원형" 형태로 쓰이는 동사로,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해요. 기억하고 외워요 

To+동사원형은 문장에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합니다. 

 

그렇다면 To부정사를 부정문(하지 않는 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오늘은 "Not to + 동사원형" 형태를 배우고, 해석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익혀 볼 거예요!

정답

4.jpg
0.15MB

1. 서론: To부정사의 부정형이란?

✅ To부정사의 부정형이란?

To부정사를 부정형으로 만들 때는 "to" 앞에 "not"을 붙여야 해요.

"not to + 동사원형" → "~하지 않기 위해", "~하지 않는 것"

✅ 📌 공식: To부정사의 부정형

✔️ Not to + 동사원형

2. To부정사의 부정형을 만드는 방법

(1) To부정사의 부정형 - 명사적 용법

✅ "Not to + 동사원형" → "~하지 않는 것"

✅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해요.

✅ 공식: Not to + V = 명사 역할

📌 예문 해석 연습

Not to lie is important.

→ 거짓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명사: 거짓말하지 않는 것 / To부정사: Not to lie)

 

I decided not to go.

→ 나는 가지 않기로 결정했어요.

(명사: 가지 않는 것 / To부정사: Not to go)

 

Her dream is not to be late.

→ 그녀의 꿈은 늦지 않는 것이에요.

(명사: 늦지 않는 것 / To부정사: Not to be late)

📌 🔍 해석하는 방법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면 돼요!

(Q: 그녀의 꿈이 뭐야?) → A: 늦지 않는 것!

(2) To부정사의 부정형 - 형용사적 용법

✅ "Not to + 동사원형" → "~하지 않을 (명사를 꾸며줌)"

✅ 문장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역할을 해요.

✅ 공식: 명사 + Not to + V

📌 예문 해석 연습

I have a promise not to tell anyone.

→ 나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을 약속이 있어요.

(명사: 약속 / To부정사: not to tell anyone)

She made a decision not to buy the dress.

→ 그녀는 그 드레스를 사지 않기로 한 결정을 했어요.

(명사: 결정 / To부정사: not to buy the dress)

📌 🔍 해석하는 방법

**"하지 않을 ~"**로 해석하면 돼요!

(Q: 어떤 약속이야?) → A: 말하지 않을 약속!

(3) To부정사의 부정형 - 부사적 용법

✅ "Not to + 동사원형" → "~하지 않기 위해", "~하지 않아서"

✅ 문장에서 동사를 꾸며주는 부사 역할을 해요.

✅ 공식: 동사 + Not to + V

📌 예문 해석 연습

He left early not to be late.

→ 그는 늦지 않기 위해 일찍 떠났어요.

(명사: 없음 / To부정사: not to be late)

She studied hard not to fail the exam.

→ 그녀는 시험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어요.

(명사: 없음 / To부정사: not to fail the exam)

📌 🔍 해석하는 방법

**"하지 않기 위해"**로 해석하면 돼요!

(Q: 왜 공부했어?) → A: 시험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3. 자주 묻는 질문 (FAQ)

Q1. To부정사의 부정형을 만들 때 "not"은 어디에 위치하나요?

👉 항상 "to" 앞에 옵니다!

✔️ I decided not to go. (O)

❌ I decided to not go. (X)

 

Q2. "Not to be late"와 "Not being late"는 같은 의미인가요?

👉 비슷하지만 약간 달라요.

Not to be late → "늦지 않는 것" (To부정사)

Not being late → "늦지 않는 것" (동명사) 둘 다 맞지만, To부정사는 더 공식적인 느낌이 있어요.

 

Q3. "Don't"과 "Not to"는 같은 의미인가요?

👉 다릅니다!

✔️ Don't be late! (명령문) → "늦지 마!"

✔️ I tried not to be late. → "나는 늦지 않으려고 노력했어."

"Don't"는 직접적인 명령, "Not to"는 간접적인 부정을 나타내요.

 

Q4. "I told him not to go."와 "I told him to not go." 둘 다 맞나요?

👉 네, 둘 다 맞지만 **"not to go"**가 더 자연스러워요.

✔️ I told him not to go. (O, 더 일반적)

✔️ I told him to not go. (O, 가능하지만 덜 자연스러움)

 

Q5. "Not to tell anyone"과 "Not telling anyone"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Not to tell anyone →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는 것" (To부정사)

👉 Not telling anyone →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는 것" (동명사)

둘 다 맞지만, To부정사는 더 공식적이고 문어체에서 많이 사용돼요.

4.  아리송 영어문법 결론: To부정사의 부정형 정리

✅ To부정사의 부정형 공식

✅ "Not to + 동사원형" = "~하지 않는 것", "~하지 않기 위해"

✅ 문장에서 3가지 활용법

 

1️⃣ 명사 역할 → "~하지 않는 것" → Not to lie is important.

2️⃣ 형용사 역할 → "~하지 않을" → I have a promise not to tell anyone.

3️⃣ 부사 역할 → "~하지 않기 위해" → He left early not to be late.

 

📌 ⚠️ 중요 포인트

✔️ "Not"은 항상 "to" 앞에 위치!

✔️ "Not to"와 "Don't"은 다름!

✔️ "Not to tell"과 "Not telling"의 차이를 이해해야 함!

 

 

아리송 무료 프린트 학습지 - 복습 영어문제

 

1️⃣ "노력은 절대 배신하지 않는다." – (열심히 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어요.)

2️⃣ "작은 노력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든다." – (조금씩 꾸준히 하면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어요.)

 

3️⃣ "공부는 힘들지만, 나중에 큰 힘이 된다." – (지금 열심히 공부하면 미래에 도움이 돼요.)

4️⃣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공부는 즐겁게 하는게 가장중요해요.!)

 

5️⃣ "오늘의 노력이 내일의 나를 만든다." – (지금 열심히 공부하면 미래의 내가 더 멋질 거예요.)

6️⃣ "꿈을 이루려면 먼저 공부부터 하자." -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는 필수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