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6. 보어 자리에 오는 분사! 필수 개념 &예제 정리/연습문제1~50

ari-song 2025. 2. 25.

 😊 오늘은 보어(補語, 보충하는 말) 자리에 오는 분사(分詞, 동사에서 파생된 형용사 역할을 하는 단어) 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

"보어", "분사"라는 단어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예제를 많이 보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1️⃣ 보어란? (보충하는 말이 뭐야?)

📌 보어란?

보어(補語, Complement)는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하여 의미를 완전하게 만들어주는 말이에요.

즉, 문장이 완전한 뜻을 가지려면 보어가 필요할 때가 있어요.

✅ 예제 1: 보어가 없으면 이상한 문장!

❌ She is. (그녀는 ???) → 이 문장은 이상해요!

✅ She is happy. (그녀는 행복하다.) → "happy"가 보어 역할을 해서 문장이 완성됨!

📌 보어는 언제 필요할까?

보어는 '~이다, ~하게 되다' 같은 동사가 있을 때 필요해요.

이런 동사들은 **"보어가 없으면 문장이 완성되지 않는 동사"**예요.

✅ 예제 2: 보어가 필요한 동사들

be 동사 (am, is, are, was, were) → "이다", "있다"

예) She i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다.) become (~이 되다)

예) He becam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 look (~처럼 보이다)

예) You look tired. (너 피곤해 보여.)

2️⃣ 분사란? (동사에서 변신한 단어!)

📌 분사(分詞, Participle)란?

분사는 동사에서 파생된 단어인데, 동사처럼 행동하는 게 아니라 형용사처럼 쓰여요.

📌 분사의 두 가지 종류

3️⃣ 보어 자리에 오는 분사 (분사가 보어 역할을 할 때!)

📌 언제 분사가 보어로 쓰일까?

보어 자리에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단어가 올 수 있어요.

분사도 형용사 역할을 하니까! 보어 자리에 올 수 있는 거예요.

✅ 1) 현재분사 (-ing) 보어 (주어가 동작 중일 때!)

현재분사(-ing)는 "주어가 직접 동작을 하고 있을 때" 사용해요.

📌 공식:

🚀 주어 + be 동사 + 현재분사(-ing)

🚀 주어 + 감각 동사 + 현재분사(-ing)

📌 예제

The baby is sleeping. (아기가 자고 있어요.)

여기서 "sleeping"(자고 있는)이 보어예요.

주어(아기)가 직접 자는 중이기 때문에 현재분사(sleeping) 사용!

She looks amazing. (그녀는 놀라워 보인다.)

look은 "보이다"라는 감각 동사이기 때문에 보어 자리에 현재분사(amazing) 사용!

The weather is changing. (날씨가 변하고 있어요.)

"날씨가" 직접 변화하는 중 → 현재분사(changing) 사용!

The water is boiling. (물이 끓고 있어요.)

물이 스스로 끓고 있는 중 → 현재분사(boiling) 사용!

The dog is barking loudly. (개가 크게 짖고 있어요.)

개가 직접 짖고 있는 중 → 현재분사(barking) 사용!

✅ 2) 과거분사 (-ed, 불규칙 동사 3단 변화) 보어 (주어가 영향을 받았을 때!)

과거분사는 주어가 어떤 동작을 당하거나, 결과를 받은 상태일 때 사용해요.

📌 공식:

🚀 주어 + be 동사 + 과거분사(-ed / 불규칙 동사의 3단 변화형)

📌 예제

The door is closed. (그 문은 닫혀 있어요.)

문이 "닫고 있는 중"이 아니라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과거분사(closed) 사용!

The glass is broken. (그 유리는 깨져 있어요.)

유리는 깨지고 난 후의 상태 → 과거분사(broken) 사용!

The homework is finished. (숙제가 끝났어요.)

숙제가 끝난 상태 → 과거분사(finished) 사용!

The cake is baked. (케이크가 구워졌어요.)

케이크가 구워진 상태 → 과거분사(baked) 사용!

The room was cleaned yesterday. (방이 어제 청소되었어요.)

방이 깨끗해진 상태 → 과거분사(cleaned) 사용!

4️⃣ 목적격 보어 자리에 오는 분사

목적격 보어란,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보어예요.

✅ 1) 현재분사 목적격 보어

목적어가 "그 동작을 직접 하고 있을 때" 사용!

📌 공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현재분사(-ing)

📌 예제

I saw her running. (나는 그녀가 달리는 것을 보았다.)

"그녀가" 직접 달리고 있는 중 → 현재분사(running) 사용!

We found the cat sleeping. (우리는 고양이가 자고 있는 걸 발견했다.)

고양이가 직접 자고 있는 중 → 현재분사(sleeping) 사용!

✅ 2) 과거분사 목적격 보어

목적어가 "그 동작을 당한 상태일 때" 사용!

📌 공식:

🚀 주어 + 동사 + 목적어 + 과거분사(-ed / 불규칙 동사 3단 변화형)

📌 예제

I had my phone repaired. (나는 휴대폰을 수리받았다.)

휴대폰이 직접 고치는 게 아니라 "수리를 받음" → 과거분사(repaired) 사용!

She got her hair cut. (그녀는 머리를 잘랐다.)

머리가 "잘리고 난 상태" → 과거분사(cut) 사용!

5️⃣ 아이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Q&A)

1️⃣ 현재분사와 동명사는 어떻게 다른가요?

➡️ 현재분사는 형용사 역할, 동명사는 명사 역할을 해요!

2️⃣ 분사를 쓸 때 시제를 고려해야 하나요?

➡️ 아니요! 분사는 현재형, 과거형이 아니라 능동 vs. 수동의 개념이에요!

3️⃣ 모든 동사가 분사형을 가질 수 있나요?

➡️ 대부분 가능하지만, 일부 동사는 분사형이 따로 없어요!

 

 

 정답

6.jpg
0.17MB
7.jpg
0.17MB
8.jpg
0.18MB
9.jpg
0.18MB
10.jpg
0.18MB

 

댓글